기본내용
WAIK에서 제공하는 PE 3.0 (X86)에 기반한 윈도우7 PE 입니다.
램용량이 512MB이상인 컴에서 사용가능합니다.
WINPE 란, Microsoft Windows Preinstallation Environment(윈도우 사전설치환경) 입니다. 설치없이 간단한 부팅만으로 윈도우의 기본환경을 제공하는 자료입니다. 주로 윈도우설치 및 수리/복구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정확히 모르더라도 "포터블 윈도우"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PE 3.0 기본이미지에 쓰기공간 256MB 확장, 설치패키지 추가, 이외에 다양한 프로그램지원을 위한 시스템파일 추가.
; 부팅방법
1. CD/DVD에 이미지굽기, BIOS설정에서 부팅순서를 CD/DVD 우선으로 설정한 후 부팅하여 사용가능. (속도 느림)
2. USB에 CD영역을 설정하여 CD처럼 부팅하여 사용가능. (속도 빠름)
3. USB에 Ultraiso 등을 이용하여, "디스크쓰기"하여 부팅하여 사용가능.(속도 빠름)
* 기타 sources폴더내에 있는 boot.wim 파일을 추출하여, 윈7의 부팅메뉴에 등록하여 사용도 가능(속도 빠름).
* 일반 디스크의 특정파티션에 모든 내용물을 복사해 넣고, 부팅이 가능하도록 Bootsect 작업(/nt60 : Bootmgr로 부팅되도록해줌)하여 부팅하여 사용도 가능(속도 빠름).
- 위 내용중 UBS 사용의 경우, USB 2.0이 작동하지 않고, USB1.1로 작동될 경우에는 속도가 현저히 느릴 수 있습니다. 이는 하드웨어(메인모드)의 문제인데 USB2.0이 지원되는 기종인 경우에는 Grub4Dos로 멀티부팅을 구성하여, "PLoP Boot Manager"로 부팅시켜 USB2.0을 강제활성화시키면 됩니다.
WAIK에서 제공하는 PE 3.0 (X86)에 기반한 윈도우7 PE 입니다.
램용량이 512MB이상인 컴에서 사용가능합니다.
WINPE 란, Microsoft Windows Preinstallation Environment(윈도우 사전설치환경) 입니다. 설치없이 간단한 부팅만으로 윈도우의 기본환경을 제공하는 자료입니다. 주로 윈도우설치 및 수리/복구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정확히 모르더라도 "포터블 윈도우"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PE 3.0 기본이미지에 쓰기공간 256MB 확장, 설치패키지 추가, 이외에 다양한 프로그램지원을 위한 시스템파일 추가.
; 부팅방법
1. CD/DVD에 이미지굽기, BIOS설정에서 부팅순서를 CD/DVD 우선으로 설정한 후 부팅하여 사용가능. (속도 느림)
2. USB에 CD영역을 설정하여 CD처럼 부팅하여 사용가능. (속도 빠름)
3. USB에 Ultraiso 등을 이용하여, "디스크쓰기"하여 부팅하여 사용가능.(속도 빠름)
* 기타 sources폴더내에 있는 boot.wim 파일을 추출하여, 윈7의 부팅메뉴에 등록하여 사용도 가능(속도 빠름).
* 일반 디스크의 특정파티션에 모든 내용물을 복사해 넣고, 부팅이 가능하도록 Bootsect 작업(/nt60 : Bootmgr로 부팅되도록해줌)하여 부팅하여 사용도 가능(속도 빠름).
- 위 내용중 UBS 사용의 경우, USB 2.0이 작동하지 않고, USB1.1로 작동될 경우에는 속도가 현저히 느릴 수 있습니다. 이는 하드웨어(메인모드)의 문제인데 USB2.0이 지원되는 기종인 경우에는 Grub4Dos로 멀티부팅을 구성하여, "PLoP Boot Manager"로 부팅시켜 USB2.0을 강제활성화시키면 됩니다.
1.
일반 윈도우7처럼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만, 설치된 윈7에 비하면 지원되지 않는 기능들이 아주 많을 것이며, 프로그램 설치 또는 사용에 있어서도
제약이 아주 많다는 점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포터블 프로그램의 경우에도 실행되는지 여부는 직접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만들어진 방식에 따라서 같은
프로그램이라도 실행여부가 달라집니다. 외장하드에 넣어 이용할 경우에는 다양한 포터블(가령 오피스 등)을 "MY BOX"에 추가해서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부팅후 인터넷 연결이 바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혹시 프로피 디스크 드라이브가 없는 경우가 아닌지 살펴보세요. 바이오스에서 프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Disable" 해주면 문제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제가 전에 겪은 문제인데, 윈7 설치화면에서 지나치게 딜레이가 심한 경우에도 같은 문제임).
2. 설치된 프로그램
-백업/복원 툴: TrueImage2011(5519), Ghost(Ghostexp,Ghostsrv,Omnifs), Imagex, GimageX, R-Drive Image, Drive Snapshot.
-디스크/파일 복구툴: R-Studio5.2, Testdisk, Photorecovery, FinalData
-디스크관련: DiskDirector11(216), MbrWhisky, HDTunePro, Gdisk, Diskpart, Diskgenius
-인터넷 등: Opera 10.62, PENetwork
-문서, 스크립 관련: 한글2007(불완전한 미니버전임), Editplus3, Foxit Reader, ultraedit, notepad2
-이미지관련: Imagine(압축파일탐색가능), Opencapture, MS 그림판.
-압축 툴: winrar, 7zip, 압축시대
-ISO편집 툴: UltraISO, 이응3.07
-파일관리자: TotalCMD, NexusFile.
-폴더탐색기: Q-Dir(이 자료에서는 Explorer를 대신합니다).
-파일전송: uTorrent, Filezilla, Nettransport
-백신: NOD32 (수동검사치료기, 실시간감시는 안됨).
-컴정보: Everest
-원격지원: TeamViewer
-기타: CCleaner, QuickBatchFileCompiler, Exescript, Regeshot, ResHacker, Compare it!, WinHEX, USB도구 등.
(CCleaner의 경우, PE 사용중 쌓이는 모든 찌꺼기 파일들은 램용량을 갉아먹는 것이므로 수시로 청소해줄 필요가 있어서 포함시킨 것입니다.)
*부팅후 인터넷 연결이 바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혹시 프로피 디스크 드라이브가 없는 경우가 아닌지 살펴보세요. 바이오스에서 프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Disable" 해주면 문제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제가 전에 겪은 문제인데, 윈7 설치화면에서 지나치게 딜레이가 심한 경우에도 같은 문제임).
2. 설치된 프로그램
-백업/복원 툴: TrueImage2011(5519), Ghost(Ghostexp,Ghostsrv,Omnifs), Imagex, GimageX, R-Drive Image, Drive Snapshot.
-디스크/파일 복구툴: R-Studio5.2, Testdisk, Photorecovery, FinalData
-디스크관련: DiskDirector11(216), MbrWhisky, HDTunePro, Gdisk, Diskpart, Diskgenius
-인터넷 등: Opera 10.62, PENetwork
-문서, 스크립 관련: 한글2007(불완전한 미니버전임), Editplus3, Foxit Reader, ultraedit, notepad2
-이미지관련: Imagine(압축파일탐색가능), Opencapture, MS 그림판.
-압축 툴: winrar, 7zip, 압축시대
-ISO편집 툴: UltraISO, 이응3.07
-파일관리자: TotalCMD, NexusFile.
-폴더탐색기: Q-Dir(이 자료에서는 Explorer를 대신합니다).
-파일전송: uTorrent, Filezilla, Nettransport
-백신: NOD32 (수동검사치료기, 실시간감시는 안됨).
-컴정보: Everest
-원격지원: TeamViewer
-기타: CCleaner, QuickBatchFileCompiler, Exescript, Regeshot, ResHacker, Compare it!, WinHEX, USB도구 등.
(CCleaner의 경우, PE 사용중 쌓이는 모든 찌꺼기 파일들은 램용량을 갉아먹는 것이므로 수시로 청소해줄 필요가 있어서 포함시킨 것입니다.)
===========================
MAN_PE_TOOLS [R6-2]
===========================
MAN_PE_TOOLS [R6-2]
===========================
사용 설명서
------------
주요변경사항
------------
------------
주요변경사항
------------
+ [R6-2]: 윈7 직접설치방식의 경우, "한글키보드 추가가 안되던 오류를 수정"하였습니다. 원인은 한글입력기였는데, 윈7설치시 자동으로 한글입력기를 삭제후 실행되며, 다시 한글입력기를 사용하려면, 바탕화면에서 "시작-system-한글입력기설치"를 실행하면됨.
+ [R6-2]: PE_Tools 배치파일도구에서, 약간의 오류가 발견되어 수정. 만능고스트설치시 7x64의 경우 부팅파일 생성이 안되는 문제해결, Gdisk 및 Diskpart도구에서 label지정문제 수정, 용량입력시 단위GB사용 등 약간 보정, opera 즐겨찾기 정리 등등. 자잘한 부분 수정.
+ [R6-2]: winimage를 삭제(활용도 낮고 실행시 확장자를 혼란스럽게 만들어서)하고, My BOX에 TeamViewer(편리한 원격지원 프로그램)를 추가.
+ [R6-2]: 스누피님의 BCDEDIT 툴(배치파일)이 있어서 포함시켰습니다(시작-Programs-보조도구). 내용 수정없이 스누피님 아이콘을 포함시켜 제작자표시를 명확히 했음.
+ [R6-2]: 간단한 종료유틸(배치파일)을 하나 추가했음(시작-Programs-보조도구). 시간설정 하여 자동으로 종료(S)/재시작(r)할 수 있게 하였음.
+ [R6-2]: 메모장처럼 가벼우면서도, 여러가지 편리한 기능이 추가된 메모장2(notepad2)를 추가했음. '메모장 대신 사용'설정도 가능. "자동줄바꿈=워드랩"이라는 것만 알아두세요.
-------------------
* 전체 설명:
-------------------
; 기본내용
WAIK에서 제공하는 PE 3.0 (X86)에 기반한 윈도우7 PE 입니다.
램용량이 512MB이상인 컴에서 사용가능합니다.
램용량이 512MB이상인 컴에서 사용가능합니다.
WINPE 란, Microsoft Windows Preinstallation Environment(윈도우 사전설치환경) 입니다. 설치없이 간단한 부팅만으로 윈도우의 기본환경을 제공하는 자료입니다. 주로 윈도우설치 및 수리/복구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정확히 모르더라도 "포터블 윈도우"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PE 3.0 기본이미지에 쓰기공간 256MB 확장, 설치패키지 추가, 이외에 다양한 프로그램지원을 위한 시스템파일 추가.
; 부팅방법
1. CD/DVD에 이미지굽기, BIOS설정에서 부팅순서를 CD/DVD 우선으로 설정한 후 부팅하여 사용가능. (속도 느림)
2. USB에 CD영역을 설정하여 CD처럼 부팅하여 사용가능. (속도 빠름)
3. USB에 Ultraiso 등을 이용하여, "디스크쓰기"하여 부팅하여 사용가능.(속도 빠름)
2. USB에 CD영역을 설정하여 CD처럼 부팅하여 사용가능. (속도 빠름)
3. USB에 Ultraiso 등을 이용하여, "디스크쓰기"하여 부팅하여 사용가능.(속도 빠름)
* 기타 sources폴더내에 있는 boot.wim 파일을 추출하여, 윈7의 부팅메뉴에 등록하여 사용도 가능(속도 빠름).
* 일반 디스크의 특정파티션에 모든 내용물을 복사해 넣고, 부팅이 가능하도록 Bootsect 작업(/nt60 : Bootmgr로 부팅되도록해줌)하여 부팅하여 사용도 가능(속도 빠름).
* 일반 디스크의 특정파티션에 모든 내용물을 복사해 넣고, 부팅이 가능하도록 Bootsect 작업(/nt60 : Bootmgr로 부팅되도록해줌)하여 부팅하여 사용도 가능(속도 빠름).
- 위 내용중 UBS 사용의 경우, USB 2.0이 작동하지 않고, USB1.1로 작동될 경우에는 속도가 현저히 느릴 수 있습니다. 이는 하드웨어(메인모드)의 문제인데 USB2.0이 지원되는 기종인 경우에는 Grub4Dos로 멀티부팅을 구성하여, "PLoP Boot Manager"로 부팅시켜 USB2.0을 강제활성화시키면 됩니다.
; 사용방법
1. 일반 윈도우7처럼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만, 설치된 윈7에 비하면 지원되지 않는 기능들이 아주 많을 것이며, 프로그램 설치 또는 사용에 있어서도 제약이 아주 많다는 점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포터블 프로그램의 경우에도 실행되는지 여부는 직접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만들어진 방식에 따라서 같은 프로그램이라도 실행여부가 달라집니다. 외장하드에 넣어 이용할 경우에는 다양한 포터블(가령 오피스 등)을 "MY BOX"에 추가해서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부팅후 인터넷 연결이 바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혹시 프로피 디스크 드라이브가 없는 경우가 아닌지 살펴보세요. 바이오스에서 프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Disable" 해주면 문제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제가 전에 겪은 문제인데, 윈7 설치화면에서 지나치게 딜레이가 심한 경우에도 같은 문제임).
2. 설치된 프로그램
-백업/복원 툴: TrueImage2011(5519), Ghost(Ghostexp,Ghostsrv,Omnifs), Imagex, GimageX, R-Drive Image, Drive Snapshot.
-디스크/파일 복구툴: R-Studio5.2, Testdisk, Photorecovery, FinalData
-디스크관련: DiskDirector11(216), MbrWhisky, HDTunePro, Gdisk, Diskpart, Diskgenius
-인터넷 등: Opera 10.62, PENetwork
-문서, 스크립 관련: 한글2007(불완전한 미니버전임), Editplus3, Foxit Reader, ultraedit, notepad2
-이미지관련: Imagine(압축파일탐색가능), Opencapture, MS 그림판.
-압축 툴: winrar, 7zip, 압축시대
-ISO편집 툴: UltraISO, 이응3.07
-파일관리자: TotalCMD, NexusFile.
-폴더탐색기: Q-Dir(이 자료에서는 Explorer를 대신합니다).
-파일전송: uTorrent, Filezilla, Nettransport
-백신: NOD32 (수동검사치료기, 실시간감시는 안됨).
-컴정보: Everest
-원격지원: TeamViewer
-기타: CCleaner, QuickBatchFileCompiler, Exescript, Regeshot, ResHacker, Compare it!, WinHEX, USB도구 등.
(CCleaner의 경우, PE 사용중 쌓이는 모든 찌꺼기 파일들은 램용량을 갉아먹는 것이므로 수시로 청소해줄 필요가 있어서 포함시킨 것입니다.)
-디스크/파일 복구툴: R-Studio5.2, Testdisk, Photorecovery, FinalData
-디스크관련: DiskDirector11(216), MbrWhisky, HDTunePro, Gdisk, Diskpart, Diskgenius
-인터넷 등: Opera 10.62, PENetwork
-문서, 스크립 관련: 한글2007(불완전한 미니버전임), Editplus3, Foxit Reader, ultraedit, notepad2
-이미지관련: Imagine(압축파일탐색가능), Opencapture, MS 그림판.
-압축 툴: winrar, 7zip, 압축시대
-ISO편집 툴: UltraISO, 이응3.07
-파일관리자: TotalCMD, NexusFile.
-폴더탐색기: Q-Dir(이 자료에서는 Explorer를 대신합니다).
-파일전송: uTorrent, Filezilla, Nettransport
-백신: NOD32 (수동검사치료기, 실시간감시는 안됨).
-컴정보: Everest
-원격지원: TeamViewer
-기타: CCleaner, QuickBatchFileCompiler, Exescript, Regeshot, ResHacker, Compare it!, WinHEX, USB도구 등.
(CCleaner의 경우, PE 사용중 쌓이는 모든 찌꺼기 파일들은 램용량을 갉아먹는 것이므로 수시로 청소해줄 필요가 있어서 포함시킨 것입니다.)
*TrueImage, Disk Director, R-Drive Image, R-Studio, Foxit Reader, 한글2007, 압축시대, Total CMD, UltraEdit, FileZilla, TeamViewer 등(시작메뉴에서는 이름뒤에 *가 붙어있는 프로그램들, 바탕화면에서는 MY BOX 이후의 프로그램들)은 부팅이미지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별도의 폴더(MY BOX)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실행시 약간의 딜레이가 있으며 특히 CD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실행이 조금 느릴 수 있습니다. MY BOX 폴더는 루트에만 위치시킨다면 어느 볼륨에 위치하더라도(즉, 부팅이미지와 다른 볼륨에 위치하더라도) 정상작동 됩니다. 따라서 용량이나 유틸추가를 위해 분리하여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합니다(가령, 부팅이미지는 USB CD영역에/ MY BOX폴더는 USB 일반영역에:강력추천).
*Q-Dir의 경우, 탐색창개수를 마음대로 설정할 수 있고 프로그램 퀵실행등록도 가능해 편리하지만, "자동으로 새로고침이 안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파일복사/삭제/이름변경 등의 경우 수동으로 새로고침을 해주어야 변경사항이 표시됩니다(프로그램자체문제가 아니라 본PE의 문제임).
*Opencapture로 화면캡쳐하는 경우,한번 캡쳐시마다 이미지파일이 하나씩 늘어나 열리게 되므로 메모리사용량도 약3MB씩 계속 증가합니다. 따라서 캡쳐작업을 많이 할 경우, 캡쳐파일을 저장후 이미지창을 닫아주고 다시 하는 것이 메모리사용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UltraISO의 경우, ISO이미지 변경후 동일한 파일에 그대로 저장하면, 자동으로 백업파일을 생성합니다. 안전장치인데 원치않을 경우 "설정-환경설정-저장-자동으로 백업파일을 만듭니다 (체크해제)"할 것.
*Opera 사용시, 램이 512MB인 경우에는 Pagefile(일종의 가상메모리)을 만들어 주세요. "시작메뉴-system-Pagefile만들기" 클릭하면 아주 간단함(PE_Tools의 메인메뉴에서 "P"입력도 동일).
*USB 도구도 추가했으나(시작메뉴에만 나옴), 포맷등의 작업은 문제없지만, CD영역만들기작업은 가급적 사용하지마세요(위험하고 오래걸림, 정상적인 윈도우에서 작업하세요).
*탐색기 우클릭메뉴나 확장자 연결을 미리 최적화시켜놓았고, 각각의 프로그램의 경우 기본적인 설정도 미리 등록해놓았으므로, 시간낭비를 줄이고 바로바로 실행시켜 작업할 수 있습니다.
3. PE_Tools (배치파일 도구) 기능.
-백업/복원 도구 (Ghost 실행도구) :
자동 및 반자동(마법사모드) 방식, 수동실행도 가능. 각 단계별로 설명이 있고, 돌아가기가 가능하며 작업실행전 작업내용을 확인하므로 안심하시고 실행해보면 쉽게 사용법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단, 완전자동메뉴는 바로 실행됨-메뉴중 주의사항 참조할 것). 수동실행도 어렵지 않으므로 수동실행을 권장함.
-윈도우설치 도구 (윈7 및 XP 직접설치, 만능고스트 설치, 만능윈도우이미지 설치):
#윈도우설치도구는 바탕화면에 있는, win7_setup 및 XP_setup을 이용하셔도 됩니다. 또한 윈7 등의 경우에는, 설치DVD 이미지를 ultraiso에 마운트시킨후 자동실행시켜서 바로 설치하셔도 됩니다(다만, 자동실행 설치의 경우 한글입력기를 삭제한 후 실행하셔야, 한글키보드 추가가 정상적으로 안되는 문제가 생기지 않습니다. 본자료 내의 설치프로그램-win7_setup, PE_Tools-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한글입력기를 삭제후 실행하므로 문제 없음). 이러한 키보드문제는 '한글입력기'때문에 직접설치방식에만 생기던 문제였는데, [R6-2]에서 완전 수정되어 해결되었음.
# 직접설치방식은 설치CD/DVD 안에 있는 설치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직접 설치하는 방식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이 방식을 사용하려면 다음의 세가지 중 하나의 방법으로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1)설치이미지를 아예 이 자료와 통합하는 방법(윈7 설치DVD 속의 자료를 본PE에 추가, 단 Boot.wim는 겹치므로 제외, 다국어판은 지원안됨).
(2)가상드라이브지원 유틸- UltraISO, 이응 -을 이용하여 설치이미지(ISO)를 마운트해놓는 방법(파일의 위치는 전혀 상관없음, 마운트만 하면 됨)
(3)하드디스크 등의 루트-가장 바깥쪽-에 설치할 이미지를 압축을 풀어놓는 방법(이때 설치에 필요한 소스는 윈7의 경우 sources폴더이며, XP의 경우에는 i386폴더입니다. 다른 내용물은 없어도 됨).
(2)가상드라이브지원 유틸- UltraISO, 이응 -을 이용하여 설치이미지(ISO)를 마운트해놓는 방법(파일의 위치는 전혀 상관없음, 마운트만 하면 됨)
(3)하드디스크 등의 루트-가장 바깥쪽-에 설치할 이미지를 압축을 풀어놓는 방법(이때 설치에 필요한 소스는 윈7의 경우 sources폴더이며, XP의 경우에는 i386폴더입니다. 다른 내용물은 없어도 됨).
XP의 경우 무인자동설치 안내파일을 적용할 수 있도록 메뉴를 짰으며, 특히 샘플메뉴를 이용해 자동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윈7설치의 경우, 본PE가 x86기반이기 때문에 sources폴더에 있는 설치프로그램이 64비트용으로 되어있는, x64 순정판은 정상실행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64비트를 설치하려면 통합이미지를 이용하세요. 통합이미지의 경우에는 32비트를 기반으로 만들기 때문에 본PE를 사용해도 정상실행됩니다.)
(윈7설치의 경우, 본PE가 x86기반이기 때문에 sources폴더에 있는 설치프로그램이 64비트용으로 되어있는, x64 순정판은 정상실행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64비트를 설치하려면 통합이미지를 이용하세요. 통합이미지의 경우에는 32비트를 기반으로 만들기 때문에 본PE를 사용해도 정상실행됩니다.)
# 만능고스트 설치방식은, "고스트를 이용한 복원" + "설치할 윈도우에 따른 부팅작업" 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GHOST 폴더에 XP.GHO, 7x86.GHO, 7x64.GHO 로 넣어놓으면 자동메뉴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일반 고스트실행 도구로 복원하는 방법도 있음. 루트에 "BACKUP.GHO"를 넣어 놓으면 자동복원메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이는 일반고스트복원메뉴이므로 부팅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부팅복원도구를 이용해서 따로 해주어야 함).
만능고스트 설치메뉴에서 "123=반자동, 1c2c3c=완전자동, 4=수동" 이부분에 대해 혼동하는 분들이 많은 듯 합니다. [1, 2, 3] 입력시에는 사용자가 설치할 파티션 선택이 가능하며, 부팅작업여부도 선택이 가능합니다(마법사 모드임:사용시 위험한 메뉴 아님). [1c, 2c, 3c] 입력시에는 1,2,3번메뉴를 파티션"C"에 완전자동으로 설치+부팅작업한다는 의미입니다(완전자동메뉴임:작업내용을 정확히 알고 사용할 것).
만능고스트 설치메뉴에서 "123=반자동, 1c2c3c=완전자동, 4=수동" 이부분에 대해 혼동하는 분들이 많은 듯 합니다. [1, 2, 3] 입력시에는 사용자가 설치할 파티션 선택이 가능하며, 부팅작업여부도 선택이 가능합니다(마법사 모드임:사용시 위험한 메뉴 아님). [1c, 2c, 3c] 입력시에는 1,2,3번메뉴를 파티션"C"에 완전자동으로 설치+부팅작업한다는 의미입니다(완전자동메뉴임:작업내용을 정확히 알고 사용할 것).
# 만능윈도우이미지(WIM) 설치방식은, 윈7 설치DVD가 이 방식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sources폴더 안에 있는 Install.wim 이미지를 기본으로 하여, ImageX로 원하는 파티션 (기본 C:)에 이미지를 풀고, 추가로 부팅작업을 해주는 방법입니다. 본래의 설치방법(직접설치)보다 더 빠르고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통합이미지의 경우에는 설치할 이미지가 몇번인지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물론 설치과정에서도 확인하는 과정이 있음). 순정이미지의 경우에는 완전자동메뉴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윈7의 설치이미지가 아니더라도 WIM이미지를 이용한 설치작업이라면 이 도구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윈7의 설치이미지가 아니더라도 WIM이미지를 이용한 설치작업이라면 이 도구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파티션 관리 도구 (Diskpart, Gdisk)
*Diskpart, Gdisk32는 원래 명령줄 입력방식입니다. 좋은 툴이지만 이로인한 불편함이 있어서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마법사모드로 만든 것입니다. 각 단계별로 설명에 따라 번호 또는 알파벳 문자을 입력하면 됩니다. Diskpart는 파티션 생성/삭제/활성화/포맷/용량변경/VHD생성도 가능하고 수동으로 사용하면 동적디스크관련기능도 있습니다. Gdisk는 파티션 생성/삭제/활성화는 가능하지만 포맷기능이 독립되어 있지 않고 용량변경은 불가합니다. 그러나 굉장히 간편하면서 강력한 기능을 가진 툴입니다. 각 툴의 모든 기능이 다 메뉴로 구현된 것은 아니므로 수동으로 사용시 더 많은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부팅복원 도구 (Bootsect/Bcdboot/Bcdedit 등)
*윈7과 XP의 설치 및 멀티부팅 등으로 부팅에 문제가 생긴 경우에 활용할 생각으로 만든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MBR 부트코드 업데이트, 윈7부팅파일 생성, 시스템파티션 활성화, 부팅메뉴 편집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윈7로 부팅되게 하거나 또는 XP로 부팅되게 하는 도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면 추가로 MBR 도구인 MBRWhisky가 추가되어 있으며, XP의 부팅파일 (Boot.ini)편집도 가능하도록 하였고, 각 메뉴에 대해서 잘 모르는 분들을 위해 자동모드를 만들어 놓았습니다. (BCDEDIT은 수동작업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윈7이 설치되어있고 이 설치된 윈도우의 부팅메뉴 편집은 스누피님 도구를 활용하세요).
-PE_Tools 시작화면에서 숨어있는 메뉴: "T"(작업관리자 실행) "P"(페이지파일만들기). 램이 512MB인 경우에는 반드시 페이지파일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음. "F"(방화벽 실행 ON/OFF).
-PE_Tools의 작업중 거의 모든 단계에서, "00"="메인복귀"입니다. 메뉴설명이 없는 경우에도 그렇습니다. 꼭 알아두세요.
4. 단축키 활용 (중요!!)
* 본 PE 에서는 쉘스타일 지원이 부족하여, 간혹(opencapture/QBFC/Regeshot/Q-dir의 경우) 파일/폴더 찾기창이 정상적으로 안뜨는 문제가 있습니다. 우선 '파일열기창 변경'을 하면(시작메뉴-"System"-'파일열기 창 변경'과 '파일열기 창 복원'을 활용), 파일열기창이 뜨기는 하지만 explorer창이 안나오는 불완전한 모습입니다. 이런 경우 입력란에 직접 드라이브명(c: 등)을 입력하여 이동할 수도 있지만, 단축키를 활용하면 편리합니다.
-파일찾기 창에서, 한단계 위로/ 뒤로/ 앞으로 등의 메뉴가 안나타날 때:
# [백스페이스바] : 한단계 위로, [Alt+ 방향키]: 뒤로( <- ) 앞으로( -> )한수준 위로(↑).
-추가: 프로그램이 여러개 동시실행중인 경우, 각 프로그램간 이동은, 작업표시줄로 가능하지만, 단축키를 이용하면 더 편리한 경우도 있습니다(특히 파일을 '끌어다 올려놓기'= 'Drag & Drop' 할 때).
# [Alt + Tab] :
먼저 Alt키를 누른 상태에서, Tab키를 누르면 작은 창이 뜸(실행중인 프로그램 아이콘이 나열됨). Alt키를 계속 누른 상태에서 Tab키를 다시한번 누를 때마다 활성화할 프로그램선택(파란사각형이 옮겨 감)이 이루어진다. 키를 놓으면 선택된 프로그램이 활성화된다.
* Q-dir(explorer)의 경우, 동일명의 파일을 복사해넣으면 복사가 안됩니다. 이때, 시작메뉴-"System"-"파일열기 창 변경"을 한번 클릭하면 덮어쓰기 확인창이 정상적으로 뜹니다. 다만, 파일작업은 문제도 없고 더 편리한 Nexusfile 사용을 권장합니다.
5. 기타 주의사항 (중요!!)
* NexusFile 사용시 마우스로 여러파일을 선택하는 방법을 모르시는 경우가 더러 있는 듯합니다. 파일 "아이콘의 왼쪽여백부분"에 마우스포인터를 대고 마우스를 누른 상태로 위/아래로 드래그하시면 선택됩니다. 다른 파일도 같은 위치에 클릭하여 추가할 수도 있고 같은 방법으로 선택된 파일들 중 일정파일만 해제할 수도 있습니다. 추가로, 두개의 폴더 탐색창 사이에 있는 여러기호들은 각종 명령메뉴(전체선택/해제, 파일복사, 정렬방식 등)이므로 잘 활용하세요.
* MY BOX 폴더는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부팅이미지 파일과 분리시켜도(어느 볼륨이든 루트에만 위치시키면 됨) 정상작동하므로, 추가하기 쉽도록 쓰기가능한 USB일반영역(CD영역설정후 남은 메모리공간) 등에 넣어놓으면 편리함(수시로 유틸 및 자료 등을 추가/삭제 가능). 바탕화면에 바로가기가 만들어져 있으므로 필요자료를 넣어두고 찾기에도 좋음. 또한 용량을 줄이고 싶을 때에는 그 폴더의 내용물을 삭제하거나 분리하여 조절가능.
* MY BOX 폴더는 여러곳에 분산시키는 것도 가능합니다. 가장 많이 쓰고 중요한 것은 ISO파일속에 그대로 유지하고, 그 외의 프로그램들은 따로 빼내어 별도의 'MY BOX'폴더를 만들어 그곳에 넣어놓아도 됩니다(단 루트에 존재할 것). 이렇게 분산시켜도 바탕화면의 바로가기는 정상실행됨.
* Grub4Dos를 이용한 멀티부팅이미지를 구성할 경우에는 내용물을 풀어서 넣은 후, menu.lst파일에서 "BOOTMGR"을 찾도록 구성하면 됩니다.
---------------------------------------
title Windows 7 PE (MAN_PE_TOOLS)
find --set-root /BOOTMGR
chainloader /BOOTMGR
---------------------------------------
다만, 기존에 설치된 bootmgr과 혼동이 생겨서 엉뚱한 곳으로 부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막으려면, 부팅메니저의 이름을 변경하세요. 가령, "BOOTMGR -> MANMGR"로 파일이름만 변경한 경우입니다(이름변경은 CD/DVD의 경우에만 해당되고, 외장하드의 경우에는 이름변경하면 부팅안됨).
---------------------------------------
title Windows 7 PE (MAN_PE_TOOLS)
find --set-root /MANMGR
chainloader /MANMGR
---------------------------------------
---------------------------------------
title Windows 7 PE (MAN_PE_TOOLS)
find --set-root /BOOTMGR
chainloader /BOOTMGR
---------------------------------------
다만, 기존에 설치된 bootmgr과 혼동이 생겨서 엉뚱한 곳으로 부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막으려면, 부팅메니저의 이름을 변경하세요. 가령, "BOOTMGR -> MANMGR"로 파일이름만 변경한 경우입니다(이름변경은 CD/DVD의 경우에만 해당되고, 외장하드의 경우에는 이름변경하면 부팅안됨).
---------------------------------------
title Windows 7 PE (MAN_PE_TOOLS)
find --set-root /MANMGR
chainloader /MANMGR
---------------------------------------
* Grub4Dos를 이용하여 멀티부팅을 구성할 경우에, "본PE자료를 통채로 부팅하고 싶다면", ISO크기를 줄여야 합니다. MY BOX 폴더를 떼어내어 따로 위치시키고(앞의 MY BOX 폴더 설명 참조), 작아진 ISO이미지를 통채로 부팅메뉴에 추가하면 정상적으로 부팅이 잘 됩니다(제경우엔 이렇게 사용). 용량을 줄이지않은 상태에서 ISO이미지를 통채로 부팅시키면 안됩니다.
* GHOST 폴더의 경우에도, 따로 분리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루트에만 위치시키면 됩니다. 다만, 그 루트에는 "MAN_PE_TOOLS.TXT"파일이 존재해야 합니다(즉, 두개가 함께 다니기만 하면 됨). ghost폴더 및 고스트파일이 혼동되어서 엉뚱하게 복원되는 일을 막기위한 안전장치입니다.
* 사용하기에 따라 굉장히 위험할 수 있는 자료이며, 불안정한 자료입니다. 좀 의심스러운 부분이 있다면 절대로 사용하지 마시길 권합니다.
* 키보드 오류는 진작에 수정했어야 했는데, 우연(잘못된 테스트)과 귀차니즘이 겹치면서 이제서야 수정했습니다. 죄송합니다 ^^;;
* 재미없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즐거운 나날 되시길 바랍니다.
--------------------------------------------------------------------------------------------------
+ 이 파일을 삭제할 경우, PE_Tools 의 만능고스트 자동설치메뉴가 정상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 이 파일을 삭제할 경우, PE_Tools 의 만능고스트 자동설치메뉴가 정상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